결혼이 얼마 남지 않은 나에게 지금 가장 큰 숙제는 신혼집을 구하는 것이다. 내가 가진 금액으로는 수도권에서 집을 구매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고, 전세를 구하기에도 부족한 자금을 낮은 금리로 정부 주도 자금 대출 리스트를 작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현재 집값을 잡기 위해 규제가 점점 강해져 대출이 불가능하니 마니, 하는 뉴스가 계속 들려오고, 한국은행에서는 올해 안으로 기준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공포스러운 이야기도 나오니... 답답한 노릇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나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렇듯이.
나 같은 사회초년생들은 막연히 살다 이제 집을 구해야지 혹은 알아봐야지 하고 네이버 부동산을 들어가 우선적으로 직장 내 근처 아파트 시세를 보면 한숨만 나오는 현시점에 막막할 것이다. 왜냐면 하루하루 내가 들어가고 싶은 집의 가격은 상승하고 있고, 전세매물은 씨가 말라 없어지고, 고정지출비용이 큰 월세만 남아 어떻게 집을 알아봐야 할지 막막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 괜찮은 집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여도, 부족한 자금을 어떻게 충당할 것인지 은행 대출? 개인신용대출? 너무 높은 금리에 답답한 상황에 정부에서 혹은 관련 부처에서 부상 동산 관련 대출을 시중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해주는데 이를 우리는 정책자금이라고 한다. 쉽게 풀이하면 정부 주도 대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좋은 조건인 만큼 3가지로 큰 뿌리로 나눌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무주택자에게만 해당하는 대출이라는 점을 숙지 바란다. 이 상품의 큰 이점은 낮은 금리도 있겠지만, 만기 고정금리라는 것!!!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인상한다고 발표한 시점에 고정금리라는 것 너무나도 큰 혜택일 수가 없다.
주택도시 기금에서 운영하며, 최저 1.85%~2.4%로 만기 고정금리이며, 더욱 쩌는것은 최저 1.85%라는 금리가 우대조건을 만족 시 1.5% 까지 낮출 수 있는 초 저 고정금리 상품이다. 이러한 파격적인 조건인 만큼 대출의 승인을 받기에는 장애물이 많아 까다롭다.
대상 주택 : 공부상 주택 즉 등기본 등본에 단독주택, 아파트, 다세대 빌라이라고 명기된 건물에만 대출을 준다는 뜻이며, 오피스텔 및 근린상가에는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대출 접수일 기준으로
주택가격 : 주택의 실거래 가 혹은 KB국민 시세 주택 가격은 5억 이하 (단 미혼은 3억 이하)
전용면적 : 85m^2 이하 약 32~34평 아파트 기준의 크기 (읍, 면 : 100m^2 이하) / 미혼 60m^2 이하
신청대상 : 무주택 세대주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 단, 60세 이상 부모가 보유한 집은 무주택으로 간주)
순자산 : 3.94억 이하 ( 부동산, 예금, 주식, 자동차 일괄 포함된 자산)
소득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단, 생에 최초, 신혼부부, 2자녀 다자녀 가구는 7천만 원 이하)
대출 한도 : LTV 70% , DTI 60% 최대 2억 원 까지 (신혼부부 :2.2억 / 2자녀 이상: 2,6억 /미혼 1.5억) 대출한도에서 상충되는 조건이 있는데, 시세 5억 이하 집에서는 LTV 70% 까지 자금 지원을 해주면 3.5억이나, 정부 주도 대출이며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영역인지 몰라도 최대 대출금액은 2 억인점 참고 바란다.
신청시기 : 매매잔금 전 / 이미 잔금을 납부한 상태라면, 이전등기접수일부터 3개월 이내
이 디딤돌 대출은 서민들이 집을 구매를 위한 정부에서 주도하는 대출 상품이기에, 대출실행 일기 준 1개월 전입과 1년 이상 실거주라는 조건이 붙는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운용중인 상품으로 최저 2.63%~3.0%로 고정금리!!! 라는 매력적인 LRON이다. 우대조건 적용 시 최저 1.8%까지 금리 혜택이 있다.
대상주택 : 공부상 주택 (디딤돌대출과 동일 하게 오피스텔, 근린상가에서는 대출을 받을 수 없다.)
주택가격 : 주택의 실거래 가 혹은 KB국민 시세 주택 가격은 6억원이하
전용면적 : 제한없음(디딤돌과는 달리 면적에 제한이 없기에 다양한 매물을 컨택할 수 있다는점이 장점이다.)
신청대상 : 무주택자(유주택세대원도 가능 →독립 실거주목적 시) , 1주택자 단, 기존주택 처분조건
소득 : 7천만원 이하 / 신혼부부 - 8천5백 이하 (단 혼인신고일기준 7년 이내) / 3자녀 - 1억 이하 / 2자녀 - 9천이하 / 1자녀 - 8천이하
대출한도 : LVT 70% (단독, 다세대, 연립 : 65%) 최대 3억6천만 까지 단 미성년자 3자녀를 둔 부부에게는 4억원
신청시기 : 매매잔금 전 / 이미 잔금을 납부한 상태라면, 이전등기접수일부터 3개월 이내
이 상품또한 집 구매를 위해 정부주도 상품이기에 전입은 대출실행기준 3개월 이내, 1년이상 실거주라는 조건이 있다.
디딤돌과 유사한 성격을 띄는 대출상품으로 주택도시 기금에서 운영하며 신혼부부만 사용가능한 상품으로 1.55%~2.1%의 고정금리와 이제막 결혼을 앞한 돈없는 신혼들을 위한 대출 상품이기에 정말 말도 안되는 우대조건 만족 시 1.2%... 금리가 가장 낮은 대출로 알려져 있다. 그렇기에 가장 까다로운 상품으로 꼽힌다.
대상주택 : 공부상 주택 (디딤돌대출과 동일 하게 오피스텔, 근린상가에서는 대출을 받을 수 없다.)
주택가격 : 주택의 실거래 가 혹은 KB국민 시세 주택 가격은 5억원이하
전용면적 : 85m^2 이하 (읍, 면 : 100m^2 이하)
신청대상 : 무주택 세대주(세대주 전원 무주택) + 순자산 3.94억원 + 생에최초 신혼가구 + 혼인신고일 기준 7년이내 혹은 3개월이내 결혼예정자 4가지 모두 충족한자!!! 낮은 고정금리로 조건이 까다롭다.
소득 :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
대출한도 : 대출 한도 : LTV 70% , DTI 60% 최대 2.2억 원 까지 (2자녀이상 2.6억원)
신청시기 : 매매잔금 전 / 이미 잔금을 납부한 상태라면, 이전등기접수일부터 3개월 이내
디딤돌과 유사한 하지만 신혼부부를 위한 상품이기에 동일한 대출실행기준 3개월 이내 전입, 1년이상 실거주라는 조건이 붙는다.
이상으로 서민들을 위한 정부주도 3대대출 상품을 정리하여보았다.
알쏭달쏭 임차인 임대인 세입자 반대말 설명 (0) | 2021.11.16 |
---|---|
낮은 신용등급도 가능한 새희망홀씨 부결없이 거절없이 받는 필수사항은? (0) | 2021.11.01 |
9월 4분기 투자 계획 KOSPI 대형주를 주목 할 3가지이유 (0) | 2021.09.12 |
스페이스 X 우주에 광고를 띄운다? 광고비는 암호화폐 (0) | 2021.09.12 |
건설업: 분양가상한제 개선검토 주가상승으로 일어날까 (0) | 2021.09.12 |
댓글 영역